<타이틀 이미지 출처 - https://m.health.chosun.com/svc/news_view.html?contid=2017120101601>
한국 사람이라면 누구나 어릴적부터 '잠' 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를 받아왔다. 에너지, 자원 아무것도 없이 오직 인적자원 뿐인 한국의 특성 때문인지 잠은 문화적으로 마치 게으름과 무능함의 상징으로 그려져 온 것이다.
미디어에서 주말에 낮잠을 자는 배 나온 아버지의 모습을 경멸스럽게 비추고 학교에서 밤새워 코피 쏟으며 공부하는 것이 미덕이고 학생이라면 꼭 그래야만 하는 필수 덕목인 것 처럼 말해왔다.
자 그럼 획일화된 지능검사나 다를 것 없는 교육에 과열된 투자 등의 문제점, 다양성 부족 그리고 문화적 문제와 한국 사회 시스템적 병폐와 다를 것 없는 현상들은 모두 제쳐두고 이번시간에는 '그냥 순수하게 '잠' 에 대해서 위와 같은 취급이 옳은가?' 만 따져보자
<가장 권장되는 수면시간 5-7시간>

경희대병원 가정의학과 김병성 교수팀 조사 결과
www.joongang.co.kr
잠을 안자면 곧바로 면역력에 데미지가 가며
고혈압 당뇨병 등의 만성 질환이 생길 확률이 커지고 혈당이 제대로 조절되지 않으며 식욕을 조절하는 호르몬 '그렐린'이 더 많이 분비되어 체중이 늘어난다.
우울감을 일으키고 우울감은 다시 불면을 일으키며 악순환을 만든다.
성 호르몬 밸런스가 깨지며 성욕이 감퇴된다.
짜증 불안 분노가 늘어나고 기억력 (인지능력) 이 떨어진다.
만성적이고 지속적인 수면부족은 저런 영향을 배로 증폭시킨다.

●정은지의 만약에(7) 2014년 월드컵으로 세계가 떠들썩하던 때, 중국에서 한 남성 축구팬이 사망했습니다. 그의 사인은 수면부족으로 인한 뇌졸중. 축구경기를 시청하느라 48시간동안 자지 않았던 것입니다. 인간의 기본 욕구에 ‘저항’해 잠을 자지 않는 것이 얼마나 위험할 수 있는지 보여주는 극단적인 사례입니다. ‘잠 못 자면 죽을 수도 있다?’는 문구에 의아해 할 수도 있습니다. 하루 이틀, 심지어 3일까지도 제대로 …
kormedi.com

"단 하루만 잠 못 자도 신체 곳곳 병든다" 이슬비 헬스조선 기자 가 - 가 + 2021/07/12 18:35 ▲ 하룻밤만 잠이 부족해도 신체 통증, 위장 문제, 인호통, 콧물 등의 신체적 문제가 생겼고, 정신적으로도 우울하고 부정적인 수치가 늘어나는 것으로 드러났다./사진=클립아트코리아 하루 정도는 잘 못 자도 괜찮을 것 같지만, 단 하룻밤이라도 잠이 부족하면 건강에 치명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. 미국 사우스 플로리다대학 노화 연구 대학 이수미 교수팀은 수면 부족의 부작용과 반복적인 수면 부족의 효과에 초점을 맞춰 연구를 진행...
m.health.chosun.com

"잠 못 자면 '치매' 잘 걸립니다"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가 - 가 + 2020/09/15 14:59 ▲ 잠을 제대로 못 자면 치매 위험이 높아진다./사진=클립아트코리아 잠을 잘 자고 숙면을 취하는 것은 신체 건강뿐 아니라 정신 건강을 위해 필수다. 하지만 갈수록 불면증을 앓는 사람이 늘고 있다.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국내 불면증으로 진료받은 환자는 지난 2015년 45만6124명에서 2019년 63만7328명으로 4년 새 28.4% 증가했다. 연령대별로는 50세 이상 중장년층이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했다. 하지만 중장년층 ...
m.health.chosun.com
이 외에도 뇌 신경계,인지능력, 호르몬 및 소화능력 심장병과 심혈관 질환에 당뇨 등 면역력까지 직간접적으로 인체 모든 곳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와 기사는 찾는대로 나온다.
집중력과 창의성 그리고 뇌 기능 전반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수면, 이젠 더 이상 게으름의 상징이 아닌 건강한 생활의 필수덕목이다.
꼭!, 여러분들도 적정 수면시간 (사람마다 다르지만 평균 5-7시간)을 잘 찾아서 휴식의 밸런스를 유지하기를 바라며 글을 마친다.
불면증에 대한 해결방법은 https://m.blog.naver.com/race1d/222677983509 에 나름 정리되어 있음 심한경우 당연히 정신과나 약물의 도움 등 전문가와 상의해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.

네번째 장을 소개합니다. [Main Page] ㅡ 주제 <부정의 감정습관 수정하기> 상황에 따라 감정습관...
m.blog.naver.com